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긴급 제안…정치인 배출 다시 준비하자] '정치, 바닥부터 시작해라'

지난 2000년 4월. 한인 2세 크리스토퍼 박(당시 14세)씨는 플러싱 YWCA 기금모금 만찬에서 시의원 선거를 앞둔 한 아시안 후보를 만났다. 그는 중학생이었던 박씨에게 아시안 이민자들이 정계에 꼭 진출해야하는 필요성을 설명하면서, “네가 도와준다면 내게 정말 큰 힘이 되겠다”고 도움을 청했다. 중학생인 자신에게 정중히 도움을 요청한데 대해 박씨는 감동했고, 선거 자원봉사자로 열심히 일했다. 당시 박씨에게 도움을 요청했던 이는 다름아닌 존 리우 뉴욕시 감사원장 당선자. 박씨는 그때부터 지금까지 9년간 선거때마다 리우 당선자를 도왔다. 재정 컨설턴트인 박씨는 이번 선거에서도 존 리우 후보를 도와 승리로 이끄는 데 기여했다. 정치인이 되겠다는 꿈을 키워가고 있는 그는 한인 ‘정치 꿈나무’다. 한인사회가 긴 안목에서 박씨 같은 꿈나무들을 발탁하고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화려한 경력? ‘No’= 뉴욕시 본선거가 끝나고 이제 한인 정치인 배출은 될만한 꿈나무를 발굴하고, 지원하고, 한인사회 전체가 키워내야 하는 장기적인 전략이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아이비리그 졸업장 등 화려한 경력을 가졌어도 짧은 준비로는 지역 정치인이 될 수 없다는 말이다. 뉴욕시는 물론, 미국 구석구석의 카운티, 타운 정치인들은 어릴때부터 선거자원봉사자로 일하며 미래의 정치인을 꿈꾸고 있다. 퀸즈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로컬 정치인에게는 명문대 졸업장보다는 얼마만큼 지역사회를 잘 알고, 궂은 일을 위해 봉사했으며, 지역 주민들과 애환을 함께 해왔는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밑바닥부터 시작해야=올해는 무려 5명의 한인 1.5·2세들이 뉴욕시의원에 출마했지만 결과는 모두 실패로 끝났다. 지역기반이 약한데다 커뮤니티와 밀착돼 있지 않았던 점이 실패의 한 요인으로 지적됐다. 지역 정치인을 배출해 내려면 한인들의 인식부터 바뀌어야 한다. 유권자들과의 밀착정도나 커뮤니티 활동 경력보다 학력이나 경제력 따위를 우선시하는 풍토를 바꾸지 않으면 당선 가능성이 있는 후보를 발굴해 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정치 꿈나무’ 육성 필요=정치에 뜻이 있는 한인 ‘꿈나무’를 조직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한인유권자센터 김동찬 사무총장은 “정치인이 되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정치참여과정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인턴십 프로그램을 많이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유권자센터는 매년 서머 인턴십 프로그램 학생들이 워싱턴DC를 방문, 지역구 의원 사무실을 방문하는 자리도 마련하고 있다. 코리안아메리칸시민활동연대(KALCA)는 유급 인턴제를 운영한다. 참가자들은 매주 10~15시간씩 봉사활동을 해야하고, 사회 공공 분야에서 일하는 전문가가 참여하는 원탁회의에도 참석하는 방식으로 정치 수업을 쌓게 된다. 조진화 기자

2009-11-06

[긴급 제안-정치인 배출 다시 준비하자] 유권자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케빈 김 후보의 낙선을 계기로 한인사회의 정치활동에 대한 근본적인 재점검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렇다할 정치 전문가가 없는데다 유권자관리, 후원활동 등이 일회성에 그치고 있어 선거전략을 수립하고, 정치인 배출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유권자등록 캠페인의 경우 신규 등록에 급급한 실정이어서 지역별 동향파악 등 선거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통계조차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정치인 후원회도 선거자금 모금에만 몰입하는 등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유권자 자료가 없다=한인 유권자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가 없다. 1996년부터 퀸즈를 중심으로 시작된 유권자 등록 캠페인은 신규등록을 받는 데 치중하고 있다. 매년 한인 유권자가 얼마나 늘었는지, 선거구별 유권자 움직임 등은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유권자 관리를 통한 투표 참여 유도는 꿈도 꾸지 못하고 있다. 퀸즈 지역의 한인 유권자 현황 파악은 2003년 청년학교(현 민권센터)가 뉴욕시 선거관리위원회의 투표 통계자료를 분석하면서 시작됐다. 그러나 이마저도 정확도가 떨어진다. 전체 유권자 명부 중 성씨를 기준으로 한인을 구분하기 때문에 100% 정확한 집계가 불가능하다는 것. 민권센터 문유성 상임이사는 그러나 “다른 이민자 커뮤니티는 자체적인 유권자 통계조차도 없다. 한인사회는 그나마 나은 편”이라고 말했다. ◇체계적인 후원 활동=선거 때마다 급조됐던 한인 후원회들도 장기적인 후원 조직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케빈 김 후보 한인후원회는 해체하지 않고 한인 정치인 배출을 위한 새로운 조직으로 탈바꿈을 모색할 예정이다. 김선엽 공동선거대책본부장은 “회원제 도입을 통해 지지층을 늘리고 기금 확보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11년 차기 뉴욕시의원 선거에서 한인 정치인을 배출시키려면 지금부터 준비에 나서야 한다는 것. 정승진 후보 후원회 공동회장을 맡았던 박호성씨는 “선거를 몇달 앞두고 급조되기 보다 최소한 2년 전부터 지역사회를 공략할 후보가 함께 선거 준비를 시작해야 승산 있다”고 강조했다. ◇아시안 PAC 활성화=한인사회는 정치인 지망생을 양성하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정치단체가 거의 없다. 2006년 설립된 한인 2세 단체 ‘한인정치발전위원회(KAPA)’ 정도가 꼽을 수 있는 단체다. 차기 정치인 후보를 발굴하고 한인 권익 신장을 위해서는 한인사회의 울타리를 넘어 중국계 등과 연계해 범아시안정치단체 설립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 그레이스 멩 등이 중심이 돼 만든 아시안정치참여위원회(Political Action Committee) 같은 단체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정치의 지평을 넓혀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최은무·신동찬 기자

2009-11-05

[긴급 제안-정치인 배출 다시 준비하자] ‘이웃과 상생’ 자세부터 배워야

"노던블러바드의 유흥업소들은 창문이 어둡게 칠해져 있어서 밖에서 안을 들여다 볼 수 없습니다.” “술을 먹고 운전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요.” “야간에 집 앞에 노상방뇨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간판에서 영어를 찾아보기 힘들어 무슨 비즈니스인지 알기 어려워요.” 본선거를 앞두고 플러싱의 한 주민협의회 초청 19선거구 후보 토론회에서 나온 주민들의 불만이다. 당시 참석 주민중 한인은 단 한명도 없었다. 중국계로 보이는 주민 한명이 앉아있었을 뿐이다. 초청 대상 후보는 민주당 케빈 김 후보와 공화당 댄 핼로랜 후보, 헬렌 마샬 퀸즈보로장 후보 등 모두 세명이었다. 사실상 김 후보에게 던진 질문이나 다름없었다. 지난 10년간 플러싱과 베이사이드 아시안 커뮤니티가 급성장하면서 인근 백인 주민들로부터 흔히 나오는 불평이다. 과거 일부 지역 정치인들은 이같은 주민들의 불평신고를 근거로 아시안 커뮤니티를 비하해 강한 반발을 사기도 했다. 한인사회는 “모든 술집을 한인이 운영하는 것도 아닌데, 괜한 트집을 잡는다” “대부분 간판은 영어로도 표기돼 있다” “한인들이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지니까 괜히 배가 아파서 그러는 거다”면서 백인 주민들의 이같은 불평을 일축해 왔다. 그러나 이번 19선거구 결과를 지켜본 일부 한인사회 지도자들은 “이제 우리도 이웃과 상생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심스럽게 운을 떼고 있다. 정치이전에 커뮤니티와의 융화가 우선이고, 그 결과가 곧 정치로 이어진다는 미국의 풀뿌리 민주주의를 새삼 실감하고 있는 것이다. 박윤용 한인권익신장위원회는 “그동안 한인을 포함한 아시안 상권이 노던블러바드로 대거 진출하면서 아시안들이 이곳 ‘삶의 질’을 망가뜨린다는 것에 대해 백인 주민들이 상당한 반감을 가진 것 같고, 결국 그것이 선거결과로 이어진 것 같다”고 분석했다. 하용화 뉴욕한인회장도 “동포들이 술에 취해 주택가에서 노상방뇨를 하거나, 새벽 늦게까지 유흥업소 앞에서 소란스럽게 떠드는 행위 등은 이제 없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19선거구는 민주당 유권자가 3만4675명으로 이 가운데 70%가 백인계다. 아시안 유권자는 12.5%인 4357명으로 중국계 2385명, 한인 1962명으로 추산된다. 사실상 백인 유권자들의 정서를 이해하지 않고는 선거에서 승리하기 어렵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퀸즈칼리지 사회학과 민병갑 교수는 “김 후보 개인은 훌륭한 자질을 갖추고 있지만 김 후보를 뒷받침해줄 아시안 커뮤니티의 역량이 부족했다”면서 “유권자들은 김 후보가 싫어서 안뽑은 것이 아니라, 아시안 커뮤니티에 대한 반감 때문에 백인 후보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민 교수는 “베이사이드에 점점 많은 아시안들이 이주해 살고 있지만, 이들은 이웃과 교류도 없고, ‘자기네 끼리’만을 고집하고 있다”면서 “주요 한식당을 비롯한 한인 비즈니스들도 이제는 타민족 주민들을 위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민 교수는 이어 “어찌보면 이번 선거 결과는 당연한 결과일지 모른다”면서 “한인들이 커뮤니티와 융화되고, 이웃을 배려할때 한인 정치인도 배출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준용 기자 [email protected]

2009-11-0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